본문 바로가기
영미권 석사

한국에서 영어로 논문 요약 훈련하는 방법

by holy-wood 2025. 8. 3.

한국에서 영어로 논문 요약 훈련하는 방법

🟩 서론 | 영어 논문 요약은 단순 번역이 아닌 '재해석 훈련'이다

한국에서 영어 논문을 접할 기회는 점점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학습자들이 논문 읽기를 ‘해석의 문제’로만 접근하면서 내용을 요약하거나 자신의 언어로 재구성하는 능력에는 어려움을 느낀다. 특히 미국식 교육에서는 읽은 내용을 요약하고, 핵심을 추출해 말하거나 글로 정리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전공과 관계없이, 비영어권 학습자가 한국에서 실천할 수 있는 영어 논문 요약 훈련법을 4단계로 제시한다. 초보 학습자도 충분히 따라할 수 있는 구조이며, 논문을 ‘읽고 끝나는’ 수준을 넘어서 비판적으로 요약하고 사고력까지 함께 훈련하는 루틴이 될 것이다.

🟨 1단계 | 논문 요약을 위한 구조 독해: IMRaD 틀 이해하기

영어 논문을 효과적으로 요약하기 위해서는 먼저 논문이 어떤 구조로 작성되어 있는지를 이해해야 한다. 대부분의 학술 논문은 IMRaD 구조(Introduction, Methods, Results, and Discussion)를 따르며, 각 부분에서 어떤 정보를 요약해야 하는지가 다르다. 학습자는 각 섹션을 읽으며 아래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

  • Introduction: 연구 목적과 배경을 한 문장으로 압축
  • Methods: 어떤 방식으로 실험 또는 조사가 진행됐는지 요약
  • Results: 핵심 결과 수치 또는 패턴 정리
  • Discussion: 연구 의미와 한계점 요약
    이러한 구분을 알고 읽을 때, 전체 내용을 흐트러짐 없이 요약할 수 있으며, 핵심 내용과 부가 설명을 정확히 분리하는 능력이 생긴다.

🟦 2단계 | 문장별 요약 훈련: 하나의 문단을 하나의 문장으로 줄이기

논문 요약을 잘하기 위해서는 한 문단을 한 문장으로 줄이는 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학습자는 논문 본문 중 하나의 섹션을 선택해, 각 문단에서 핵심 문장을 찾아내고 그 내용을 자기 문장으로 바꿔 요약하는 루틴을 반복해야 한다. 예를 들어, Discussion 섹션의 한 문단에 네 문장이 있다면, 가장 중심이 되는 논지 하나를 선택하고, 그것을 자신의 문장으로 다시 서술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영어 문장을 번역한 후 요약’이 아니라, ‘내용을 이해한 뒤 영어로 요약’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단순 어휘나 구문 암기를 넘어, 영어 논리 구조를 직접 체득하게 해준다. 하루에 단 1문단씩이라도 반복하면, 요약력이 아니라 사고 정리력까지 향상된다.

🟧 3단계 | 구글독스 or Notion 활용한 요약 포트폴리오 만들기

단순히 종이에 쓰고 끝나는 방식은 학습 동기를 유지하기 어렵다. 학습자는 자신만의 논문 요약 포트폴리오를 디지털로 구축해야 한다. 추천 플랫폼은 구글독스나 Notion이다. 각 논문에 대해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기록한다:

  • 논문 제목 + 링크
  • 요약한 문단 (원문)
  • 자신의 요약 (영어 1~2문장)
  • 핵심 개념 키워드 3개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쌓으면, 학습자는 이후에 같은 주제를 다룰 때 요약본을 재활용하거나 비교 분석할 수 있다. 동시에, 한눈에 보기 쉬운 구조 덕분에 반복 학습이 자연스럽게 가능해지고, 포트폴리오화도 쉬워진다. 이런 축적된 결과물은 대학 진학, 연구계획서 작성, 또는 영어 인터뷰 대비 자료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